본문 바로가기
정보모음

2023 년 달력 음력 - 한국의 주요 음력 행사 및 기념일

by 크루이오 2024. 3. 30.

1. 설날 (구정)

 

 

2023 년 음력 설날(구정)은 양력으로는 1 월 26 일인데, 음력으로는 1 월 1 일에 해당합니다. 설날은 새해를 맞아 가족들끼리 모여 잔치를 벌이고, 친척들을 만나는 전통적인 한국의 명절입니다. 설 명절 당일인 설날에는 떡국을 먹고, 세배를 드리며 풍성한 한 해를 기원합니다. 또한, 어버이날로 부모님께 정성을 다하는 것이 문화적인 의무로 여겨집니다. 설날은 가족들이 모여 사랑과 정을 공유하는 소중한 시간이기도 합니다.

 

 

 

2. 대보름

 

2.-대보름

 

 

대보름은 한국의 전통적인 음력행사 중 하나로, 음력 1월 15일을 가리킨다. 대보름은 겨울철 한파가 심할 때 따뜻함을 주는 요소인데, 이 날은 한 해 가장 추운 시절이 모두 지나고 봄이 다가왔다는 전조를 의미한다. 대보름에는 쌀쥐 떼 남녀가 떡을 구워 보름밥을 차리고, 코도 먹고 손수건을 돕는 등의 풍습이 전해진다. 또한, 거리들 레고 뛰고 제사를 지내는 등의 풍습도 있는데, 이는 더 풍성한 한 해가 될 수 있도록 거름이 좋아도록 하기 위함이다. 대보름은 한국인에게 소중한 풍습이며, 가정이나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3. 음력 새해

 

3.-음력-새해

 

 

음력 새해는 매년 음력으로 책정되는 날짜로, 한국에서는 중요한 전통적인 행사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음력 새해는 매년 1월 1일에 해당하며, 가족들끼리 모여서 음식을 함께 먹고 전통적인 음식을 준비하여 새해를 맞이하곤 합니다. 또한, 가족들끼리 서로 인사를 나누고 상을 벌이며 새해의 소망과 희망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으로 여겨집니다. 특히 한복을 입고 전통 행사를 즐기는 문화도 뿌리깊게 자리하고 있어 음력 새해는 한국인들에게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4. 중간절(추석)

 

4.-중간절(추석)

 

 

중간절(추석)은 한국의 대표적인 음력 행사 중 하나로, 매 해 명절인 추석 전날과 추석 당일에 맞춰지는 특별한 날로서 가족 모두가 모여 함께 시간을 보내는 특별한 날입니다. 중간절(추석)에는 가족들이 함께 음식을 준비하고, 조상들을 기리는 차례를 지내는 것이 전통적인 방식입니다. 또한, 차례상을 차려 음식물을 제물로 제단 위에 올리며, 조상들에게 공양하는 의식을 행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중간절(추석)은 한국인들에게는 가족과 조상을 기리고 감사하며 함께하는 소중한 시간으로 여겨지며, 한국의 전통 문화와 가치를 극대화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5. 일월오(정월 대보름)

 

5.-일월오(정월-대보름)

 

 

한국의 전통적인 음력 행사 중 하나인 정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에 열리는 대보름 행사입니다. 이 날은 해가 처음으로 볕을 내쫓고 땀 나게 하는 겨울을 떠나가고 봄이 다가오는 시기로, 새해가 시작되면서 새롭고 신선한 에너지가 넘치는 타이밍입니다.

 

대보름 행사 중에는 머리 두어 모루를 소나무에 거는 풍습이 있으며, 이를 통해 새해의 행운과 풍요를 다자 자신에게 가져다 줄 것을 기원합니다. 또한 가정 내에서는 가족들이 모여 밥상을 차리고 함께 떡국을 먹는 등의 풍습도 있습니다.

 

정월 대보름은 한국의 예로부터 내려오는 소중한 전통이자 기념일 중 하나로, 가정에서의 화목과 풍요를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새해의 행운과 기쁨을 바라면서 여러 가족들이 함께 모여 즐기는 소중한 시간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6. 고쥬반석(해마다)

 

6.-고쥬반석(해마다)

 

 

6. 고쥬반석(해마다) 섹션

 

고쥬반석은 한국의 전통적인 음력 행사 중 하나로, 해마다 음력으로 8월 15일에 열리는 기념일이다. 고쥬반석은 우리의 선조들이 이웃과 함께 즐기던 농사를 마친 뒤 마을 주변으로 모여 쉬고 몸을 닦으며 춤과 노래를 불러 함께 기쁨을 나누던 풍습이 담긴 행사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계절을 맞이하는 마음가짐과 단합의 의미를 다짐하고 즐기는 것이 고쥬반석의 핵심이다. 이 같은 전통적인 의미와 함께 현대에는 가족, 친구들과 함께 모여 특별한 음식을 준비하고 함께 먹으면서 즐기는 시간으로 이어져 고쥬반석은 계속되고 있다.

 

 

 

7. 봄분

 

7.-봄분

 

 

봄철인 3월 중순으로 시작하는 봄분은 땅이 활력을 되찾고 새싹이 돋아나는 계절로 여기는데요. 한국의 봄분은 농사일을 시작하기에 적합한 때로 여겨져 왔습니다. 봄분이 시작되면 농사를 짓기에 좋은 환경이 조성되어 농부들은 밭일을 시작하게 됩니다. 특히 이마저도 날씨가 변덕스러운 봄철에 밭 일과 관련된 일들은 어려움이 따르기도 하지만 봄이 싹트는 듯한 기운이 돋아나게 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함께하는 봄맞이 행사나 시민들이 모여 음악회를 열거나 문화행사를 갖는 등의 행사가 많이 열리며 봄분이 시작됨을 깨닫게 됩니다. 봄분의 시작은 삶과 자연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계절입니다.

 

 

 

8. 하지

 

8.-하지

 

 

하지는 한국의 전통 음력에서 중요한 날 중 하나로, 음력으로 보면 매월 제 9일을 가리킨다. 특히 하지 달은 음력으로 7월을 뜻하며, 그 해 학교 수업이 끝나고 휴가철인 하는 시기에 맞닿아 농사지으기에 좋은 때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리고 무더위가 가장 심한 여름에는 더위를 식히기 위한 다양한 풍습들이 있어 더욱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는다. 한복을 입고 향초를 내세워 시원한 바람을 불러내는 의례를 행하거나 시원한 음식과 음료를 즐긴다는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가 내제되어 있다. 즐겁고 건강한 하지를 지내는 것이 바람직한 습관으로 여겨진다.

 

 

 

9. 대설양(섣달)

 

 

한국의 음력 중에서 11월이 있는 해는 대체로 섣달이라고 불리며, 이때 대설양이 시작됩니다. 대설양은 추위가 심해지고 눈이 내리는 계절로, 이 때부터 한파가 찾아오게 됩니다. 따뜻한 옷을 입고 건강에 유의하여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대설양은 한국 전통적인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가 있는데, 옛날부터 추운 겨울을 준비하는 시기로 여겨져왔습니다. 이에 따라 대설양에는 미리 식량을 준비하고 옷이나 이를 손질하는 일을 하는 등 겨울을 준비하는 준비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는 한국인의 전통과 문화를 지키며 겨울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내기 위한 중요한 시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0. 소서

 

10.-소서

 

 

소서는 한국의 전통적인 음력 행사로서 임진월(6월)에 열리는 대체로 농사 일정에 관련된 축제입니다. 소서는 논농사 시작 전의 의식으로, 농사 일정이 시작되기 전에 밭를 갈고 씨를 뿌리는 등 올해의 작물이 풍년이 되기를 기원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소서 날에는 농부들이 새 해를 맞아 보다 풍요로운 작황을 이루기 위해 힘을 합쳐 열을 내며 축제를 즐깁니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농업의 중요성과 노동의 가치를 되새기며 모두가 함께 번영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길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